티스토리 뷰
오늘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용어, 다이오드 뜻을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정리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반도체 용어 중 반드시 알아야할 기본 용어 중 하나가 다이오드입니다. 다이오드에 대해서 아주 간단히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기존 포스팅에서 정리한 트랜지스터, 집적회로(IC), Semiconductor에 대한 정보는 다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2단자 전자 부품입니다. P-N 접합을 만들기 위해 불순물이 첨가된 반도체 물질, 보통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압이 다이오드에 정방향으로 인가되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러나, 역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면, 다이오드는 전류 흐름을 차단한다. 다이오드는 정류기, 전압 조절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전압 스파이크 및 기타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전자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장치로도 사용됩니다.
다이오드란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우리 주변에서는 정류작용을 이용해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바꾸는 전원장치인 정류기와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의 고주파 부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다이오드는 크게 P형과 N형 두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P형 실리콘반도체를 사용하면 다수 캐리어(전자)가 정공이고 소수 캐리어(정공)가 전자이기 때문에 순방향 전압강하가 작아지고 공핍층 폭이 좁아져서 고속 동작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트랜지스터 증폭회로 및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 회로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이오드의 구조는 어떻게 되나요?
다이오드의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위 그림처럼 p형 반도체 양단에 n형 반도체를 접합 시킨 구조이며, 이때 각 반도체 사이에 불순물을 주입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p형 반도체 쪽으로는 (+)전하가, n형 반도체 쪽으로는 (-)전하가 모이게 되어 각각 +극과 -극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가운데 부분은 절연체로 채워져 있으며, 이를 애노드(Anode)라고 합니다. 또한 반대쪽 끝 단자는 캐소드(Cathode)라고 하며, 이곳으로부터 외부 회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다이오드의 용도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다이오드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포토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 배리스터등이 있습니다. LED는 빛을 내는 반도체소자로서 주로 조명기구에 사용되며, 포토 다이오드는 광검출기로 사용되는 일종의 광센서입니다. 한편, 제너 다이오드는 정전압 특성을 얻기 위해 사용하며, 배리스터는 과전압 보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다이오드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다이오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는 정류 작용 2 0.6~0.7V의 문턱전압 존재 3 역방향 누설전류 발생 4 온도계수 높음 5 항복현상 6 쇼트키 장벽 7 높은 전도성 8 큰 도통손실 9 열폭주 현상 10 작은 크기 11 넓은 응용범위
오늘은 다이오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이오드라는 이름 자체는 생소하지만 실생활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알찬 내용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반도체용어, 다이오드 뜻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반도체 공부 및 기본 지식을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